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Object
- literaltype
- undefined
- null
- slider
- 비교연산자
- Chaining
- 산술연산자
- function
- javascript
- html
- Number
- elseif
- TAB
- jQuery
- 논리연산자
- 타입스크립트
- EVENT
- Class
- mouseout
- if
- type
- methods
- array
- boolean
- click
- 제어문
- Narrowing
- 증감연산자
- typescript
- Today
- Total
angsu
[코딩애플] 9.Type Script 본문
함수와 methods에 type alias 지정하는 법
🍎 function type 도 저장가능
함수에 들어갈 파라미터와 return으로 뱉을 값들을 타입지정할 수 있다고 배워봤습니다.
함수 타입도 type alias로 저장해서 쓸 수 있습니다.
let 함수명 : 타입별명 = function(){}
type NumOut = (x : number, y : number ) => number
let ABC :NumOut = function(x,y){
return x + y
}
🍎 methods 안에 타입지정하기
object 자료 안에 함수도 맘대로 집어넣을 수 있습니다.
let 회원정보 = {
name : 'kim',
age : 30,
plusOne (x){
return x + 1
},
changeName : () => {
console.log('안녕')
}
}
회원정보.plusOne(1);
회원정보.changeName();
plusOne 그리고 changeName 함수를 object 자료에 집어넣었습니다.
arrow function, 일반함수 전부 object 안에 맘대로 집어넣을 수 있습니다.
넣은 함수들은 똑같이 점찍어서 사용가능합니다.
🍏 (숙제1) 위 코드에서 회원정보라는 변수에 타입지정 알아서 해보십시오.
- plusOne이라는 속성은 함수여야하고, 숫자를 넣어서 숫자를 뱉는 함수여야합니다.
- changeName이라는 속성은 함수여야하고, 아무것도 return하면 안됩니다.
- type 키워드를 쓰든 말든 알아서 합시다.
답.
type change = (x : string) => string
let 회원정보 = {
name : 'kim',
age : 30,
plusOne (x : number) : number{
return x + 1
},
changeName : (x) => {
console.log('안녕')
}
}
회원정보.plusOne(1);
회원정보.changeName();
/*-------------------------- 오답정리 --------------------------*/
type Member = {
name : string,
age : number,
plusOne : ( x :number ) => number,
changeName : () => void
}
🍏 (숙제2) 다음 함수2개를 만들어보고 타입까지 정의해보십시오.
- cutZero()라는 함수를 만듭시다. 이 함수는 문자를 하나 입력하면 맨 앞에 '0' 문자가 있으면 제거하고 문자 type으로 return 해줍니다.
- removeDash()라는 함수를 만듭시다. 이 함수는 문자를 하나 입력하면 대시기호 '-' 가 있으면 전부 제거해주고 그걸 숫자 type으로 return 해줍니다.
- 함수에 타입지정시 type alias를 꼭 써보도록 합시다.
물론 문자제거 하는 방법을 모른다면 구글검색이 필요합니다.
답.
🍏 (숙제3) 함수에 함수를 집어넣고 싶습니다.
숙제2에서 만든 함수들을 파라미터로 넣을 수 있는 함수를 제작하고 싶은 것입니다.
이 함수는 파라미터 3개가 들어가는데 첫째는 문자, 둘째는 함수, 셋째는 함수를 집어넣을 수 있습니다. 이 함수를 실행하면
1. 첫째 파라미터를 둘째 파라미터 (함수)에 파라미터로 집어넣어줍니다.
2. 둘째 파라미터 (함수)에서 return된 결과를 셋째 파라미터(함수)에 집어넣어줍니다.
3. 셋째 파라미터 (함수)에서 return된 결과를 콘솔창에 출력해줍니다.
이 함수는 어떻게 만들면 될까요?
둘째 파라미터엔 cutZero, 셋째 파라미터엔 removeDash 라는 함수들만 입력할 수 있게 파라미터의 타입도 지정해봅시다.
(실행예시)
만들함수('010-1111-2222', cutZero, removeDash)
이렇게 사용하면 문자에 1. cutZero를 해주고, 2. removeDash를 해주고 그 결과를 콘솔창에 1011112222 이렇게 출력해줍니다.
이런거 처음이면 어려울 수 있으니 하루 드림
답.
참고 사이트 : https://codingapple.com
'IT > Type 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코딩애플] 11.Type Script (0) | 2024.04.06 |
---|---|
[코딩애플] 10.Type Script (0) | 2024.04.03 |
[코딩애플] 8.Type Script (0) | 2024.04.01 |
[코딩애플] 7.Type Script (0) | 2024.04.01 |
[코딩애플] 6.Type Script (0) | 2024.03.31 |